건강수첩-헬리코박터
위장병의 원인은 무엇일까? 사람들은 흔히 위장병이 술을 많이 마시거나 잘못된 식습관 때문에 생기는 것으로 알고 있다. 실제는 그렇지 않다. 대부분의 위장병은 '헬리코박터 파이로리'(이하 헬리코박터)란 세균에 의해서 생긴다.
.
헬리코박터는 1982년 발견 당시 이 균이 위장병의 원인인지 확실치 않았으나 최근에는 기능성 소화불량증, 위염, 위십이지장궤양뿐만 아니라 위암, 위림프종 등의 원인이라는 사실이 밝혀지고 있다. 특히 세계보건기구(WHO)는 지난 95년 헬리코박터를 1등급 발암물질로 규정했다. 또 위암의 원인 중 하나로 확인되고 있다.
.
이 균의 감염률은 우리 나라 40대 성인에서 80% 정도이며, 십이지장궤양 환자의 경우 감염률이 95% 이상이다.
.
감염경로는 아직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다만 수돗물, 분변, 치석 등에서 헬리코박터가 확인되는 점에 미뤄 입을 통한 경구감염이 주요 경로로 추측되고 있다.
.
특히 대변을 통해 구강으로 감염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헬리코박터 감염 여부는 혈액을 채취해 항체를 검사하는 방법을 통해 알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민도와 특이도가 낮고 과거 감염과 현재 감염의 구별이 불가능하다.
.
최근에는 인체에 해가 없는 동위원소를 투약한 후 호기(내쉬는 숨)를 모아서 측정하는 비침습적인 요소호기검사법이 활용되고 있다. 이 검사법은 예민도 93%, 특이도 100%로 검사결과가 정확하며 치료 후 완치판정에 가장 좋은 방법으로 인정받고 있다.
.
또 내시경검사 중 채취한 생검조직을 이용한 요소분해효소검사 및 조직학적 검사가 있다.
.
헬리코박터 감염 자체가 반드시 치료 대상이 되는 것은 아니다.
.
.
치료대상 환자 중 대표적인 예가 위십이지장궤양이다. 지난 94년 미국 국립보건원의 회의 결과에 따라 활동성궤양뿐 아니라 치유된 궤양도 헬리코박터에 감염된 경우 치료대상이 된다.
.
그 이유는 위산분비억제제 등의 약물복용으로 치료한 경우 80% 이상의 환자들이 재발을 경험하지만 헬리코박터를 박멸하면 궤양이 저절로 치유될 뿐만 아니라 재발률이 10% 이하로 감소된다.
.
조기 위암의 내시경적 절제술 후 위암 재발을 방지하려면 헬리코박터 박멸치료를 받는 게 좋다. 치료방법은 간단하다. 항생제를 포함한 3가지의 약제를 1, 2주간 투여할 경우 90% 정도의 박멸률을 보인다.
.
곽동협(곽병원 원장.소화기내과전문의)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레르기성 비염, 학생들의 최대의 적 (0) | 2008.12.06 |
---|---|
헬리코박터 세균 감염됐다면 비타민 C 섭취해야 (0) | 2008.11.10 |
건강해지는 24가지방법 (0) | 2008.11.03 |
바르고 건강하게 걷는 법 (0) | 2008.09.16 |
건강하게 살수 있는 13가지 지혜 (0) | 2008.09.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