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번은 황씨가 완두콩을 분류하는 '중책'을 맡았다. 물에 데칠 수 있도록 크기에 따라 세 종류로 나누는 작업이다.
눈에 힘을 주고 콩을 고르던 황씨의 앞에 크기가 어중간한 콩이 등장했다. 크다고 보긴 작고, 중간이라 보기엔 크고…. 망설이던 그녀는 문제의 콩을 중간 콩 자리에 놓았다.
순간, 부(副)주방장의 불벼락이 떨어졌다. "아니, 그게 어떻게 중간 콩이야, 큰 콩이지! 눈깔은 어디다 팔아먹은 거야!"
파랗게 질린 황씨를 둘러싸고 있던 수십 명의 동기들. "괜찮아, 그럴 수도 있지"라며 격려했을까? 천만에. 그들은 굶주린 하이에나처럼 황씨를 공격하기 시작했다. "콩도 못 고르면서 엘 불리에 왔냐. 너 같은 건 빨리 나가야 해!"
'스페인 최고 레스토랑 5개월 분투記' 중에서 (조선일보, 2008.3.22)
눈에 힘을 주고 콩을 고르던 황씨의 앞에 크기가 어중간한 콩이 등장했다. 크다고 보긴 작고, 중간이라 보기엔 크고…. 망설이던 그녀는 문제의 콩을 중간 콩 자리에 놓았다.
순간, 부(副)주방장의 불벼락이 떨어졌다. "아니, 그게 어떻게 중간 콩이야, 큰 콩이지! 눈깔은 어디다 팔아먹은 거야!"
파랗게 질린 황씨를 둘러싸고 있던 수십 명의 동기들. "괜찮아, 그럴 수도 있지"라며 격려했을까? 천만에. 그들은 굶주린 하이에나처럼 황씨를 공격하기 시작했다. "콩도 못 고르면서 엘 불리에 왔냐. 너 같은 건 빨리 나가야 해!"
'스페인 최고 레스토랑 5개월 분투記' 중에서 (조선일보, 2008.3.22)
예전에 아이와 함께 극장에서 '라따뚜이'라는 만화영화를 본 적이 있습니다. 프랑스 파리의 최고 레스토랑에서 벌어지는, 프랑스 최고의 요리사를 꿈꾸는 생쥐의 이야기였습니다. 유쾌한 이야기 전개와 함께 '요리사'에 대해 잠시 생각해볼 수 있는 시간을 가졌었던 기억이 납니다.
주말에 '요리사'와 관련한 인터뷰 기사를 읽었습니다. 우리나라 최초로 '세계 최고의 레스토랑'이라는 스페인의 '엘 불리(El Bulli)'에서 일했던 요리사 황선진(30)씨의 이야기입니다.
그녀는 엘 불리에 관한 책을 읽고 이력서를 40차례나 보낸 끝에 이 식당의 '5개월 인턴'이 됐다고 합니다. 인턴 동기 40명 중 여자 요리사는 그녀 혼자뿐.
이 세계 최고 레스토랑에서 그녀는 처음 한 달 동안 양파 껍질만 벗겨야했습니다. 그러다 맡은 완두콩 분류라는 '중책'에서 그녀는 '1초의 차이에 목숨을 건다'는 것의 의미를 배웠습니다.
콩을 물에 데치기 위해 크기에 따라 세 종류로 나누는 작업이었는데, '실수'를 했고 바로 부주방장의 불호령을 들어야했습니다.
"아니, 그게 어떻게 중간 콩이야, 큰 콩이지! 눈깔은 어디다 팔아먹은 거야!"
그녀는 이런 '수난'을 이해하고 있는 듯했습니다. 그러니 이런 말을 할 수 있었겠지요.
"콩 크기에 따라 데치는 시간이 달라요. 1초짜리가 있고 2초짜리가 있지요. 그 1초의 차이를 목숨처럼 중요시하는 게 엘 불리의 주방이에요. 완벽해야 하니까요."
어느 분야건 1류와 2류, 3류가 있습니다. 그리고 1류가 되는 길은 험난합니다. 큰 것은 물론 작은 것에도 '완벽'해야하니까요.
콩의 크기에 따라 달라야하는 '데치는 시간 1초'의 차이에 목숨을 거는 1류 레스토랑의 1류 요리사...
어느 분야건 최고가 되려면, 이렇게 '1초의 차이'에 목숨을 걸어야 합니다.
주말에 '요리사'와 관련한 인터뷰 기사를 읽었습니다. 우리나라 최초로 '세계 최고의 레스토랑'이라는 스페인의 '엘 불리(El Bulli)'에서 일했던 요리사 황선진(30)씨의 이야기입니다.
그녀는 엘 불리에 관한 책을 읽고 이력서를 40차례나 보낸 끝에 이 식당의 '5개월 인턴'이 됐다고 합니다. 인턴 동기 40명 중 여자 요리사는 그녀 혼자뿐.
이 세계 최고 레스토랑에서 그녀는 처음 한 달 동안 양파 껍질만 벗겨야했습니다. 그러다 맡은 완두콩 분류라는 '중책'에서 그녀는 '1초의 차이에 목숨을 건다'는 것의 의미를 배웠습니다.
콩을 물에 데치기 위해 크기에 따라 세 종류로 나누는 작업이었는데, '실수'를 했고 바로 부주방장의 불호령을 들어야했습니다.
"아니, 그게 어떻게 중간 콩이야, 큰 콩이지! 눈깔은 어디다 팔아먹은 거야!"
그녀는 이런 '수난'을 이해하고 있는 듯했습니다. 그러니 이런 말을 할 수 있었겠지요.
"콩 크기에 따라 데치는 시간이 달라요. 1초짜리가 있고 2초짜리가 있지요. 그 1초의 차이를 목숨처럼 중요시하는 게 엘 불리의 주방이에요. 완벽해야 하니까요."
어느 분야건 1류와 2류, 3류가 있습니다. 그리고 1류가 되는 길은 험난합니다. 큰 것은 물론 작은 것에도 '완벽'해야하니까요.
콩의 크기에 따라 달라야하는 '데치는 시간 1초'의 차이에 목숨을 거는 1류 레스토랑의 1류 요리사...
어느 분야건 최고가 되려면, 이렇게 '1초의 차이'에 목숨을 걸어야 합니다.
'시사 및 경제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돈은 빼앗길 수 있어도 지식은 빼앗기지 않는다 (0) | 2008.03.28 |
---|---|
말은 조금 적게, 행동은 훨씬 많이... (0) | 2008.03.28 |
마잉주 당선자의 대만과 한국경제 (0) | 2008.03.28 |
질문이 너무 원대해서가 아니라 보잘것없어서, 우리는 실패한다 (0) | 2008.03.28 |
배우려 하지 않고, 낡은 지식을 버리지 않는 사람의 미래 (0) | 2008.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