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정보

겨울산행시 주의할점

산우리우리 2008. 4. 29. 09:21

겨울산행시 주의할점

 


 

★피로동사와 저체온증(하이퍼 싸미아)

 

겨울 산행은 다른 계절에 비해 체력소모가 극심하다. 이 경우 간식 등을 전혀 먹지 않은 상태에서 무리하게 본인의 평소 체력을 오버하여 탈진상태가 이어지면서추위가 겹쳐서 일어나는 사고가 바로 피로동사이다

 

무리한 산행일정을 피하는게 이를 예방하는 길이다. 자칫 동사와 동상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불충분한 영양 섭취와 바람과 눈에 대한 미흡한 대비로 인해 탈진상태에 이어 저체온증(하이퍼싸미아)에 걸리기도 한다. 저체온증에 걸리면 오한.판단력 상실.언어장애.졸음.비틀거림.마비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자신도 모르게 일어나므로 초기에 발견하고 신속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 몸은 따뜻하게 데워주고 계속 움직이게 한다.

 

설탕을 넣은 뜨거운 차와 음식물을 공급해 에너지를 보충시킨다. 춥다고 술을 먹이는 일은 금물이다. 이와 함께 건포도.곶감.초컬릿.사탕.치즈 등 열량 높은 비상식량은 체력소모가 심한 겨울철에 가장 필요한 준비물중 하나이다.

 

1986년 1월 남설악 주전골에서 탈진으로 피로동사한 사고가 있었다. 당시 이들 일행은 망대암산과 1158봉 사이의 바람이 세차게 부는 능선상에서 부실한 복장으로 오랜 시간 몸을 노출하여 체온을 빼앗겼으며, 하산하는 도중에도 간식 등의 미 준비로 허기진 상태를 오래 지속하였고, 목을 축이기 위해 찬 눈을 먹었던 점이 열 저하를 더욱 가속시켜 결국은 사망에 이른 사고이다.

 

또한 1991년 2월 남설악의 오색에서 대청봉을 향하여 오르던 3명중 2 명이 탈진과 추위로 동사하였는데, 설악산에서 오색약수에서 대청봉에 이르는 등산로는 어찌보면 가장 안전하고 가장 위험이 적은 코스임에도 이런 대형사고가 발생할수도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 당시 1명은 유일하게 생존하였으나 심한 동상으로 양발의 무릎 아래 부위를 절단한 비극적인 사례이다.

 

겨울 산에서는 행동한 만큼 충분한 휴식을 취하고, 쉴때마다 필요한 양의 영양 섭취, 기상악화에 대응할 수 있는 방풍. 방수의류 휴대, 판초우의(비박시 막영구로 사용가능) 준비가 필수이다.

 

가장 중요한 점은 탈진에 이르기 전에 열량 높은 행동식으로 소모된 열량을 보충해야 한다는 점을 잊어서는 않된다. 우리 몸은 참으로 특이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런 탈진상태에 이르기 전에는 당분 등을 섭취하여 피로를 줄여줄수도 있지만, 한번 오버상태에 빠지면 절대 회복이 불가능하게 만들어져 있다. 이럴 경우에는 따뜻한 방에서 휴식과 수면을 취하면서 피로를 풀어줘야만 몸이 정상으로 돌아오게 되는데, 산행 도중에 따뜻한 방이 어디에 있으며, 잠을 잘수 있는 여력이 있는가?

결국은 사전에 예방하는 방법밖에 없다.


저체온증(하이퍼싸미아)에 대한 대책

 

젖은 옷을 입고 있을 경우 마른 옷을 입고 있을 때보다 40 배나 빠르게 몸의 열이 빼앗긴다. 의학적이나 과거 사고 사례를 보면 최초의 저체온증상이 나타나서 허탈상태에 이르기까지는 1시간이 채 걸리지 않고 이로부터 죽음에 이르기까지는 2시간이 걸리지 않는다는 무서운 사실도 알아야 한다.

그러므로 빠른 시간내에 건조한 옷으로 갈아 입어야 하며, 열량이 높은 음식물(더 운 당질의 차나 쵸콜렛, 캔디 등)을 섭취해야 한다.


완벽한 장비를 갖출 것


기온은 해발 100m 올라갈수록 섭씨 0.6도씩 낮아지며 초속 1m의 바람이 불면 체감온도는 2도씩 낮아진다. 우선 방한·방풍처리가 잘된 스톰파커를 준비하고 털내의와 파일재킷을 껴입는 것이 활동도 자유롭고 보온에도 좋다. 등산화는 보온성과 방수성이 좋고 조금 큰 것을 고른다.또한 언 눈길에 대비, 아이젠을 준비해야 한다. 초보자의 아이젠은 네발짜리면 충분하다. 초보자들은 가벼운 산행에도 피켈과 스패츠(발토시)를 준비해야 한다. 털모자, 양말, 장갑은 보온성이 좋은 순모제품이 좋은데 양말과 장갑은 여벌을 준비해야 한다

 

비상식량 꼭 지참


필수적으로 준비해야 하는 것 중의 하나가 비상식량이다. 칼로리가 높고 무게가 덜 나가는 인스턴트 식품이 적합하며 간식으로는 초콜릿, 건포도, 곶감, 사탕, 과일 등을 준비하는 것이 좋다.

 

경험 많은 리더와 동행할 것


원칙적으로 겨울에는 혼자 산을 올라가서는 안된다. 최소 3명 이상 같이 가고 경험 많은 리더가 동행해야 안전하다.

 

사고에 대비할 것


길을 잃었을 경우 그 자리에서 불을 피우고 구조대를 기다리는 것이 현명하다. 길을 찾아 헤매다가 체력을 소모해 더 큰 위험에 빠지는 경우를 주변에서 볼 수 있다. 사람이 다녔던 길은 눈이 덮여도 윤곽이 드러나 있다는 것과 동물의 발자국이 있다면 그 길을 따라가는 것이 큰 길과 만날 수 있다는 기초지식을 알아두는 것도 중요하다.